시각디자인스튜디오 A

손글점자체

손글점자체는 한글과 점자를 결합한 서체로,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동일한 글자를 서로 다른 감각으로 읽을 수 있도록 개발하였습니다. 한글의 시각적 구조와 점자의 촉각 체계를 조화롭게 설계하여, 점의 크기와 간격, 배치를 조정함으로써 두 체계가 유기적으로 공존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습니다. 이 서체는 단순한 가독성 향상을 넘어, 점자를 누구나 익히고 경험할 수 있는 보편적 문자로 확장하기 위한 시도를 담고 있습니다. 또한 손글점자체를 활용한 점자 학습책을 제작하여, 서로 다른 감각으로 같은 언어를 배우는 경험을 제안합니다.

Songeul Braille Typeface combines Hangeul and Braille, enabling both visually impaired and sighted users to read the same text through different senses. The design harmonizes Hangeul’s visual structure with Braille’s tactile system by refining the size, spacing, and arrangement of dots. Beyond visual readability, this project aims to expand Braille as a universal written form that anyone can learn and experience. The typeface is further applied to a Braille learning book, inviting readers to engage with language through both sight and touch.

시각디자인스튜디오 A

손글점자체

손글점자체는 한글과 점자를 결합한 서체로,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동일한 글자를 서로 다른 감각으로 읽을 수 있도록 개발하였습니다. 한글의 시각적 구조와 점자의 촉각 체계를 조화롭게 설계하여, 점의 크기와 간격, 배치를 조정함으로써 두 체계가 유기적으로 공존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습니다. 이 서체는 단순한 가독성 향상을 넘어, 점자를 누구나 익히고 경험할 수 있는 보편적 문자로 확장하기 위한 시도를 담고 있습니다. 또한 손글점자체를 활용한 점자 학습책을 제작하여, 서로 다른 감각으로 같은 언어를 배우는 경험을 제안합니다.

Songeul Braille Typeface combines Hangeul and Braille, enabling both visually impaired and sighted users to read the same text through different senses. The design harmonizes Hangeul’s visual structure with Braille’s tactile system by refining the size, spacing, and arrangement of dots. Beyond visual readability, this project aims to expand Braille as a universal written form that anyone can learn and experience. The typeface is further applied to a Braille learning book, inviting readers to engage with language through both sight and touch.

시각디자인스튜디오 A

손글점자체

손글점자체는 한글과 점자를 결합한 서체로,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동일한 글자를 서로 다른 감각으로 읽을 수 있도록 개발하였습니다. 한글의 시각적 구조와 점자의 촉각 체계를 조화롭게 설계하여, 점의 크기와 간격, 배치를 조정함으로써 두 체계가 유기적으로 공존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습니다. 이 서체는 단순한 가독성 향상을 넘어, 점자를 누구나 익히고 경험할 수 있는 보편적 문자로 확장하기 위한 시도를 담고 있습니다. 또한 손글점자체를 활용한 점자 학습책을 제작하여, 서로 다른 감각으로 같은 언어를 배우는 경험을 제안합니다.

Songeul Braille Typeface combines Hangeul and Braille, enabling both visually impaired and sighted users to read the same text through different senses. The design harmonizes Hangeul’s visual structure with Braille’s tactile system by refining the size, spacing, and arrangement of dots. Beyond visual readability, this project aims to expand Braille as a universal written form that anyone can learn and experience. The typeface is further applied to a Braille learning book, inviting readers to engage with language through both sight and touch.

시각디자인스튜디오 A

손글점자체

손글점자체는 한글과 점자를 결합한 서체로,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동일한 글자를 서로 다른 감각으로 읽을 수 있도록 개발하였습니다. 한글의 시각적 구조와 점자의 촉각 체계를 조화롭게 설계하여, 점의 크기와 간격, 배치를 조정함으로써 두 체계가 유기적으로 공존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습니다. 이 서체는 단순한 가독성 향상을 넘어, 점자를 누구나 익히고 경험할 수 있는 보편적 문자로 확장하기 위한 시도를 담고 있습니다. 또한 손글점자체를 활용한 점자 학습책을 제작하여, 서로 다른 감각으로 같은 언어를 배우는 경험을 제안합니다.

Songeul Braille Typeface combines Hangeul and Braille, enabling both visually impaired and sighted users to read the same text through different senses. The design harmonizes Hangeul’s visual structure with Braille’s tactile system by refining the size, spacing, and arrangement of dots. Beyond visual readability, this project aims to expand Braille as a universal written form that anyone can learn and experience. The typeface is further applied to a Braille learning book, inviting readers to engage with language through both sight and touch.

@2025 Sungshin Women’s University Design Graduation Exhibition

@sswud_2025

@2025 Sungshin Women’s University Design Graduation Exhibition

@sswud_2025

@2025 Sungshin Women’s University

Design Graduation Exhibition

@2025 Sungshin Women’s University Design Graduation Exhibition

@sswud_2025